2025년 서울시 신혼부부 대상 ‘미리내집(장기전세주택2)’ 자격조건, 청약 일정, 신청방법, 소득기준 등을 신뢰성 있는 최신 정보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놓치지 않도록 꼭 확인해보세요.
미리내집이란?
‘미리내집’은 ‘내 집이 될 주택을 미리 마련한다’는 뜻의 신혼부부 대상 서울시 장기전세주택으로, 서울시가 신혼부부 및 예비신혼부부에게 제공하는 장기전세주택2 타입의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시세 대비 저렴한 전세금과 장기 거주 혜택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환경을 마련해주는 서울형 정책으로, 자녀가 늘면 최장 20년까지 거주 기간을 연장하며 시세보다 저렴하게 매수까지 지원하는 서울시의 파격적인 저출생 주거 대책입니다.
1. 미리내집 자격 조건
기본 자격
- 모집공고일 기준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며, 혼인기간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혼인 예정 6개월 이내 예비신혼부부여야 합니다.
- 최근 5년 내 주택 소유 이력이 없어야 합니다.
소득 및 자산 기준
- 전용면적 60㎡ 이하: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20% 이하 (맞벌이 최대 180%)
- 전용면적 60㎡ 초과: 월평균 소득 150% 이하 (맞벌이 최대 200%)
- 자산 기준: 부동산 포함 총자산 약 6.4억 원 이하
출산 인센티브
- 입주 후 2자녀 이상 출산 시 최대 20년 거주 가능하며, 시세 대비 80~90% 수준의 매입 기회 제공됩니다.
2. 신청 방법
- 인터넷 접수: SH공사 청약시스템에서 인증서 로그인 후 ‘미리내집’ 공급공고 선택 → 주택형 선택 → 신청서 작성 → 접수 완료
- 방문 접수: 지정된 SH공사 공급부 방문, 신분증 및 준비서류 제출하여 신청하기
3. 청약 일정
제5차 모집 (총 485세대)
- 모집공고: 2025년 7월 28일
- 인터넷 접수: 8월 11일~12일
-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8월 29일
- 서류 제출: 9월 8일~10일 (등기우편 필수, 일반 우편으로는 서류 받지 않음)
- 당첨자 발표: 12월 5일 예정
당첨자 발표
SH공사 청약시스템 또는 서울주거포털 홈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후 ‘당첨자 발표 확인하기’
발표일은 공고문에 반드시 명시되므로 해당 날짜 이후 확인하기 권장합니다.
계약 시 준비서류
필수 서류: 주민등록등본/초본, 혼인관계증명서 또는 예비신혼부부 확인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청약통장 가입확인서.
소득·자산 증빙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기반으로 자동 조회되며, 필요한 경우 추가 자료 제출 안내에 따라
준비합니다.
4. 모집개요
전세금은 시세 대비 약 30~40% 저렴하며, 단지 및 평형에 따라 3억 원대에서 최대 7억 원대까지 다양합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중 일정 비율(약 40%)은 소득 기준이 더 낮은 1순위 대상에게 우선 배정됩니다.
경쟁률이 최대 수백 대 1에 달할 정도로 높은 만큼 가점 기준도 중요합니다. 출산 여부, 서울 연속 거주기간, 청약저축 납입횟수 등이 우선순위와 가점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5. 입주 시 유의사항
신청 전 단지별 현장 방문을 통해 교통, 생활 인프라 등 주거 환경을 직접 확인해보고, 필요한 경우 ‘현장 확인하기’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조회 결과가 입주 자격 판단 기준이므로, 이의 제기 시 관련 증빙자료를 제출하여 ‘자격 보완 요청하기’
6. 용어 정리
매입임대
국토부 또는 서울시가 주택을 매입하여 무주택자에게 저렴한 보증금 및 월 임대료로 공급하는 공공임대 방식입니다.
든든전세
국토부가 전세권 보증이 확보된 전세주택을 대상으로 신혼부부나 청년, 다자녀 가구 등에 보증금을 지원하여 전세로 사는 형태입니다. 최대 8년 거주 가능.
GH매입임대
경기도시공사(GH)가 경기 지역 내 무주택자에게 매입한 주택을 공공임대로 제공하는 정책으로, 경기도 청년·신혼부부에게 우대권이 주어집니다.
미리내집
서울형 장기전세주택Ⅱ 브랜드로, 신혼부부와 예비신혼부부에게 시세 대비 저렴한 전세금, 장기 거주 및 출산 인센티브, 우선 매수 기회를 제공하는 주거지원 정책입니다.
7. 마무리
2025년 미리내집2 모집공고는 신혼부부에게 서울시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주거지원 기회입니다. 자격조건을 확인하고, 모집공고 확인 → 신청하기 → 서류 준비하기 → 청약 접수 → 발표일 확인 후 당첨 확인하기 순서로 적극 대응하세요. 전용 60㎡ 이하부터 84㎡까지 다양한 평형과 입지, 최대 20년 거주 혜택과 출산 인센티브까지 제공되는 이 기회를 꼭 활용해보세요.
'복지·지원금 신청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학비 지원과 신청(사전신청, 전환신청) (0) | 2025.08.02 |
---|---|
실업크레딧 제도 수급자격과 신청하기 (0) | 2025.08.01 |
국민행복카드 발급과 사용처, 바우처 등록 (0) | 2025.07.31 |
국민비서 구삐 알림서비스 신청방법 (0) | 2025.07.30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신청방법과 신청조건 (0) | 2025.07.28 |
문화체육관광부 영화할인권 신청방법 (0) | 2025.07.27 |
청년월세지원금 신청 총정리 (기간·자격·지원금) (0) | 2025.07.26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2025 총정리 (0) | 2025.07.25 |